이달 말로 예정된 지상파 DMB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업계의 경쟁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다.
방송위원회는 6개의 지상파 DMB 사업자 중 3개를 기존 지상파에 나눠주고 나머지 3개는 비지상파 사업군에게 배분할 예정이다.
현재 지상파 3개 사업자 선정을 높고 KBS와 MBC, SBS, EBS가 경합을 벌이고 있다. '누가 되느냐'보다 '누가 떨어지느냐'가 관건이다. 네곳 중 한곳은 결국 탈락의 고배를 마셔야 한다.
이는 한 방송사만의 문제는 아니다. KBS만 현재 추진중일 뿐 나머지 3개 방송사는 다른 언론사 및 업체들과 제휴를 맺고 사업권 획득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MBC는 MBN·아리랑TV와, SBS는 TBS·경기방송·LG텔레콤·한겨레 신문·9개 지역민방과, EBS는 연합뉴스·방송통신대·거원시스템·한국교총·㈜잡링크 등과 제휴 협정을 맺었다. 탈락할 겨우 치명적인 피해가 불가피하다.
상대적으로 국가기간방송인 KBS와 공영방송 MBC가 안정권에 들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고 이는 여러 차례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경쟁구도가 압축된 것 같은 보도가 연달아 나오자 SBS와 EBS는 억울해하면서도 상대를 의식한 모습을 계속 보이고 있다.
지난 달 24일 DMB 서비스 수용자들이 선호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각각 상반된 보도자료를 내놓은 것은 그 대표적인 예. 당시 EBS는 조사 결과를 근거로 교육정보가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70% 이상이라고 주장했으나 SBS는 뉴스와 시사정보, 연예오락 등이 수위를 차지했다며 교육 관련 정보를 얻고 싶다고 한 응답자는 2.3%에 불과했다고 반박했다.
최근 EBS 노조는 성명서를 내고 'SBS와 한겨레 신문은 DMB 사업자 권리를 포기하라'고 주장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DMB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교육관련 방송이 필요하다는 공문을 방송위원회에 보내려 했으나 SBS와 한겨레신문의 교육부 출입기자가 이를 저지했다는 것.
이에 대해 SBS컨소시엄 측은 오히려 EBS가 교육부를 동원해 압력을 행사하려는 것 자체가 잘못이며 정부기관의 개입이 공정한 심사를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1997년 지상파DMB의 전신인 DAB 태동 단계부터 기술개발에 투자해온데다 2003년 3월월부터 24시간 실험방송을 실시 중인 SBS는 기술·장비, 자본, 컨텐츠 모든 면에서 다른 경쟁자들의 우위에 있다는 주장을 내세운다.
사업 초기 지상파 DMB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SBS가 반드시 사업자에 선정돼야 한다는 입장. 안국정 SBS 사장은 최근 기자들과 모인 자리에서 'DMB는 우리 나라의 10년 먹거리'라며 DMB의 산업적 측면을 역설했다.
자본력과 기술력 등에서 상대적인 열세에 있는 EBS는 다른 방식으로 DMB 사업을 보고 있다. DMB라는 신도시에 교육 기능이 빠져서는 안된다는 이른바 '공익 우선론'이다.
권영만 신임 EBS 사장은 취임 전 기자들에게 "신도시를 세우면 갖가지 오락 시설이 우후죽순 들어선다. 하지만 신도시에는 도서관도 필요하고 학교도 필요하다. 그 역할을 우리 EBS가 대신하려 한다"며 EBS가 지상파 DMB 사업자 선정돼야 할 당위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심사권한을 갖고 있는 방송위원회는 어느 사업자가 탈락하든 큰 반발이 예상돼 대단히 곤혹스럽다는 반응이다. 방송위원회 관계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경우 이달 안에 사업자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굳이 날짜를 예상하자면 정기 의사회 의결이 있는 오는 29일께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조심스레 관측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