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사회, 환경, 공공재에서 측정 가능한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 한미관계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회장은 18일 최종현학술원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한미동맹 특별 공동보고서 발간을 기념해 열린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통해 "이번 공동 보고서는 양자관계의 회복력과 가치를 발굴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이같은 점을 강조했다.
CSIS는 세계적인 국제 관계·정책 전략 싱크탱크다. 최 회장의 차녀 민정씨가 지난 2019년 10월부터 1년간 CSIS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최 회장은 먼저 "이 보고서는 우리 학술 교류의 높은 수준을 보여줄 뿐 아니라, 무엇보다 대단히 시기적절한 보고서"라면서 "아직 팬데믹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했지만 이 보고서는 이미 향후 추구할 목표를 제시하며, 새로운 미 행정부의 취임과도 맥을 함께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미 행정부는 세계와 교류를 재개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오늘날 이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없을 것"이라며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석좌교수의 '킨들버거 함정' 개념에 대한 논문을 언급했다.
최 회장은 "강대국들이 국제 안보, 금융 안정성 등 글로벌 공공재를 공급하는데, 이런 강대국들이 공공재 공급에 실패하는 순간 국제 체제는 무너질 것이라는 내용이었다"면서 "오늘날 꼭 새겨 둬야 할 내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미중 양국은 이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 하며, 보호주의에 굴해서도 안된다. 글로벌 공공재의 공급자로서 자신들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면서도 "하지만 강대국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 우리는 한미관계를 유지해 산업기술 협력을 추진하고 문화적 유대를 공고히 할 공동의 책임을 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회장은 공공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도 언급했다.
최 회장은 "기업은 공중 보건, 인프라, 에너지 등 필수적인 재화를 공급한다"며 "이산화탄소 배출 요인인 동시에 환경 보호의 첨병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한편 최 회장은 오는 21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겸하고 있는 최 회장은 방미 기간에 미국 정·재계와 배터리 사업을 논의할 예정이다.
방미 기간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도 방문할 것으로 알려져 이번에 미국에서 배터리 공장 추가 투자계획이 공식 발표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