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에이트 쇼' 한재림 감독 "'오겜' 영향 無..다르게 가려고 노력"[인터뷰①]

김나연 기자  |  2024.05.22 12:02
한재림 감독 / 사진=넷플릭스 한재림 감독 / 사진=넷플릭스
한재림 감독이 "'더 에이트 쇼'와 '오징어 게임'은 전혀 다르다"라고 밝혔다.


22일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의 한 카페에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에이트 쇼'(The 8 Show)의 한재림 감독과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더 에이트 쇼'는 8명의 인물이 8층으로 나뉜 비밀스런 공간에 갇혀 '시간이 쌓이면 돈을 버는' 달콤하지만 위험한 쇼에 참가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넷플릭스 시리즈. '관상', '더 킹' 등을 통해 대중성과 흥행성을 모두 인정 받은 한재림 감독의 넷플릭스 첫 시리즈 연출작이다.


글로벌 누적 조회수 3억 뷰를 기록한 배진수 작가의 네이버웹툰 '머니게임'과 '파이게임'을 한재림 감독이 각색하여 새롭게 탄생한 작품으로, '더 에이트 쇼'의 원제는 '머니게임'이었다. 한재림 감독은 제목을 바꾼 이유에 대해 "서바이벌 장르가 아니고, 약간 비틀었다고 생각한다. 서바이벌 장르는 누군가가 죽는다. 남이 죽어야 누군가 사는 건데 '더 에이트 쇼'는 한 명도 죽으면 안 되는 거다. 그래서 '게임'이라는 제목이 붙지 않았으면 했고, 인물들이 주최 측에 재미를 주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쇼'라는 단어가 중요했다"고 밝혔다.

이어 "8개 에피소드, 8명의 인물, 시간은 돈이기 때문에 시간대를 무한대로 갖고 싶은 인간의 욕망을 담아서 제목을 '더 에이트 쇼'로 바꾸자고 생각했다"며 "(제목을 바꾸는 게) 원작자한테는 굉장히 어려운 일인데 흔쾌히 이해해줘서 고마웠다"고 전했다.


'더 에이트 쇼'가 공개된 이후 '오징어 게임'과 유사점이 있다는 평가도 나오는 상황. 한재림 감독은 "이 작품을 하기로 했을 때 '오징어 게임'이 나오기 전이었다. 사실 '오징어 게임'이 너무 잘 돼서 '하지 말아야 하나?'라고 생각했다. 저도 재밌게 봤지만, 이렇게까지 잘 될 줄은 몰랐다. 그때는 '머니게임'만 제안받았는데 '서바이벌' 구조라는 것에 한계를 느꼈고, '파이게임'의 룰이 매력적으로 나가왔다. 한 명도 죽지 않는 이야기를 해보자는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오징어 게임'의) 영향을 받은 건 없고, 좀 다르게 가려고 하긴 했다. 지금 리뷰를 보면 '오징어 게임'을 기대했던 사람들은 재미를 못 느낀 것 같고, '오징어 게임'과 달라서 좋다는 사람은 있는 것 같다. 서바이벌 장르는 누군가를 죽이고, 배신하고, 캐릭터 성이 강하거나 반전이 있다. 그러나 '더 에이트 쇼'는 서바이벌 장르가 아니고, 사회 실현극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징어 게임'과의 차이점에 대해 "'오징어 게임'은 주최 측이 관객들이 하여금 죄책감을 가지고 가게 했다. 주최 측이 악당으로 가다 보니까 관객은 비교적 편하게 본다. 죄책감 없이 쾌감을 즐기게 하는 거다. 그 안에서 수십명이 죽어도 죄책감을 안 느낀다"며 "우리는 주최 측이 보이지 않고, 주최 측은 관객을 상징한다. 조금만 잔인해도 매우 크게 다가오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만들 때 굉장히 조심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객들이 쾌감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해, 선정성에서 벗어나기 위한 윤리적인 고민을 거듭했다"며 "어떤 장면을 쓰면 관객이 좋아할지에 대해 예상할 수 있다. 근데 그게 맞는지, 그 장면이 진짜 필요한지에 대한 고민이 있다. 예를 들자면, 8층(천우희 분), 6층(박해준 분)의 성관계를 왜 안 보여주냐는 얘기도 있었는데, 그거에 대해 비판을 하는 작품이기 때문에 보여주면 안 되는 거다. (작품을) 만드는 사람은 관객을 위해서 어디까지 재미를 줘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다. 매스미디어를 만드는 사람들의 은유가 곳곳에 들어가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스타뉴스 단독

HOT ISSUE

스타 인터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