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운 감독 "광기어린 오락영화, 미친듯 찍었다"(인터뷰)

전형화 기자  |  2008.07.15 11:22
ⓒ이명근 기자 qwe123@ ⓒ이명근 기자 qwe123@


김지운 감독은 담담한 모습이었다. 악전고투 속에 촬영을 마쳤던 '좋은 놈,나쁜 놈,이상한 놈'개봉을 불과 사흘 앞두고 있었지만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은 다했다는 모양세였다.


170억원이 넘는 제작비에 한국영화 부흥을 짊어져야 할 것처럼 포장된 '놈놈놈'의 위치에도 그는 개의치 않았다. '달콤한 인생'처럼 나무가 바람에 흔들릴지언정 마음이 흔들리지는 않는 경지에라도 오른 걸까?

14일 김지운 감독을 만나 '놈놈놈'에 대해 물었다.


-개봉을 앞둔 심정은 어떤가.

▶ 항상 그래왔지만 담담하다. 앞서 했던 작품들보다 제작비가 크지만... 왜 한 편씩 만들 때마다 한국영화가 어려워지는 걸까.(웃음) 다른 영화들보다 조금 더 부담되는 건 사실이다.


-지인들에게 칸 버전은 보지 말고 한국 버전을 보라고 '강추'했다던데. 칸 버전보다 더 설명적으로 바뀌었는데.

▶ 칸 때보다 처음과 마지막 외에는 더 많이 들어간 것은 없다. 처음 보는 관객들은 빠르게 느껴질 것이다. 또 세 사람의 밸런스를 더 맞추었다.

-송강호 이병헌보다 정우성의 캐릭터가 덜 입체적이라는 지적이 칸에서 있었는데.


▶ 정우성에게는 어떤 선까지 바라는 게 있었다. 세 배우의 밸런스는 처음부터 더 큰 욕심을 자아냈다. 각자의 매력이 분명하고 보여질 게 명확했기 때문이다. 정우성는 지금까지 '핫'하게 그려졌던 것을 '쿨'하게 표현시키고자 노력했다. 말투나 어미까지 서로 상의했다. 나도 서부영화를 많이 봤지만 정우성의 역주행신처럼 아름답고 우아한 자태는 보지 못했다.

-달파란이 편곡한 주제곡이 칸 버전보다 줄었다. 아무래도 서부영화는 귓가에 남는 주제곡이 있기 마련인데 왜 한 번으로 줄였는지.

▶ 원래 한 번에 그 흐름으로 영화에 삽입하려 했다. 그런데 칸에는 편집이 덜 된 상태에 갔기 때문에 두 번에 걸쳐 나간 것이다. 음악 감독도 정우성이 등장할 때마다 그 음악이 나오는데 부담감을 느꼈다.

-한국 웨스턴 장르가 '놈놈놈'으로 부활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

▶ 신호탄을 쐈으니 다연발이 나올지 기대한다. 서부영화를 좋아하고 나보다 더 장르적인 쾌감을 살릴 수 있는 감독이 많다고 생각한다. 오승욱 최호 이명세 박찬욱 김성수 류승완 감독 등은 서부영화에 대한 애정이 있는 사람들이다.

-김치웨스턴이라는 서구언론의 평은 장르에 대한 변종으로 폄하하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오히려 김지운식 웨스턴이 명확한 표현일 듯 한데.

▶ 김지운식이 아니더라도 김치웨스턴, 된장웨스턴, 한우웨스턴, 동동주웨스턴이라 불려도 좋다. 그들과 다른 한국적인 기질과 다이나믹한 느낌을 본 것 같다. 김치의 '핫'한 느낌을 애교스럽게 표현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웨스턴이라는 장르에 새로운 해석이 있었다면.

▶ 관객이 두 시간 동안 환호하고 흥분하는 대형 오락 영화를 만들려했다. 당연히 우리에게 웨스턴 정신은 없지만 한국인 특유의 활력과 활기를 담았다. 시대적 아픔이 있어도 에너지가 넘치는...

-장르 영화에 대한 김지운 감독의 도전은 그 자체로 평가되어야 하지만 한편으로 '김지운 월드'가 형성되지 못한 이유가 되기도 하는데.

▶ 약간의 오해와 내 서투름도 있을 것이다. 외피적으로 장르에 스타일을 추구하다보니 그렇게 보이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전작을 통해 분명히 일관된 것을 이야기해왔다. 나 스스로도 감독의 세계를 정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 아직까지 나는 영화청년이고 배우고 있다. 지금까지 장르의 변주를 통해 배운 바가 '놈놈놈'에 집대성돼 있고, 이제 그것을 보따리에 담아 구체화시키는 일이 남았다. 다음부터는 장르를 먼저 정하지 않고 이야기부터 찾고 장르를 찾을 생각이다.

ⓒ이명근 기자 qwe123@ ⓒ이명근 기자 qwe123@


-'놈놈놈'에는 '올드보이' '석양의 무법자' 등 다양한 패러디가 있는데.

▶ 내가 좋아하는 영화들을 통해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싶었다. 같은 재료, 같은 요리법으로 요리를 만들어도 솜씨 좋다는 소리를 듣는 게 지금 내게 가장 듣기 좋은 소리인 것 같다.

-'놈놈놈'은 김지운 감독에게 어떤 영화인가.

▶ 지난 10년을 결산하고 새로운 10년을 준비하는 영화. 나중에 이것이 김지운 세계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고, 이걸 하려고 그렇게 했구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영화.

-상당히 큰 기획인데 어떤 순간에 '놈놈놈'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었나.

▶ 대평원 추격신을 찍으면서다. 말들이 질주하고 배우들이 에너지를 쏟는 것을 모니터로 보면서 이 현장의 기운을 관객에게 전달만 하면 할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했다.

-무엇보다 화려한 캐스팅으로 주목받았는데.

▶ 세 명 다 어렵지 않았다. 새로운 장르에 도전한다는데 매력을 느낀 것 같다. 난 배우를 잘 이해하는 감독으로 남고 싶다. 배우들도 그런 부분을 잘 봐준 것 같다.

-세 배우의 매력이 영화에 끼친 점이 있다면.

▶ 송강호가 드라마의 호흡을 담당하고, 이병헌이 긴장을 줬으며, 정우성이 액션의 쾌감을 줬다. 세 배우의 매력이 극대화된 것 같다.

-각 배우들에 화면 배정이 다르던데. 이병헌에 클로즈업이 많고.

▶ 그렇다. 각 배우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처음부터 그렇게 의도했다. 이병헌은 아무래도 눈에 젖고 목소리에 취하는 배우가 아닌가. 그는 내가 담아두기에는 훨씬 큰 장점을 지닌 배우이다.

-지중현 무술감독이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등 어려운 순간들이 많았는데. 어떤 순간이 가장 힘들었나.

▶ 바로 그때다. 불의의 사고는 예기치 않게 오는 법이지만 너무 힘들었다. 그렇게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서로 일을 했던 사람인데. 모든 사람들이 신나게 일을 하다가 모든 사람이 다운됐다. 그것을 예전 상태로 끌어올리는 게 쉽지 않았다. '달콤한 인생' 때 내 어머니가 사고로 돌아가셨지만 그 때는 나만 정신을 찾으면 됐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았다. 내 영화 인생 중 가장 힘들고 외롭고 고독한 순간이었다. 그렇기 때문에라도 스태프와 배우에게 이 영화의 공은 온전히 돌아가야 한다.

-오락영화로만 강조되는 게 싫지는 않나.

▶ 제발 오락영화로 봐줬으면 좋겠다. 나는 이 영화로 작가적 야심이나 인정 같은 것을 받을 생각이 없다. 이 영화는 스태프와 배우들에 위로가 되기 위해서라도 흥행이 돼야 한다.(웃음)

-'놈놈놈'이 안되면 한국영화 IMF가 온다는 둥 갖가지 말들이 쏟아지는데.

▶ 한국영화는 한 감독의 영화로 좌우되지 않는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놈놈놈'에 대한 평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 김혜수씨가 말한 '이 영화는 미쳤다'.(웃음) 광기 어린 오락영화라는 평. 정말 우리가 미친 듯이 찍었구나라는 생각이 다시 든다.

-세 배우 중 꼭 한 명에게 남우주연상을 줘야 한다면.

▶ 진짜 곤란한 질문이다.(웃음) 아마도 전부에게 줘야 할 것이다. 세 배우 중 한 명이라도 없었으면 이 영화의 매력은 반감됐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스타뉴스 단독

HOT ISSUE

스타 인터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