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KBS, SBS, MBC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오후 10시 23분께 비상계엄령을 선포했다. 국회는 이튿날인 4일 오전 1시께 190명 전원 찬성으로 비상계엄령 해제 요구안을 가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4시께 비상계엄령을 해제했다. 이후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 안건으로 올라왔으나 여당인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 퇴장해 소추안이 자동 폐기됐다. 야권은 2차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발의했고, 탄핵안은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을 앞두고 있다.
시국이 어지러운 만큼, 연예계도 시끄러워졌다. 과연 연예인들이 기존 스케줄을 그대로 진행해도 될런지, 연말 시상식을 취소해야 하는 건 아닌지 등 한숨 섞인 소리가 나온다. 특히 지상파 연말 시상식 진행 여부는 큰 이슈로 떠올랐다. 스타뉴스는 비상계엄령 선포부터 2차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까지, 약 10일간 방송가는 어떻게 흘러갔으며 어떤 의견을 가졌는지 알아봤다.
지상파 3사 연말 시상식이 화두로 떠오른 건 다름 아닌 '지상파'이기 때문이다. 지상파는 국가로부터 공공재인 전파(주파수)를 할당받아 이용해 높은 공익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보도와 오락 프로그램을 동시 편성하고 있지만, 뉴스 특보를 우선시한다. 작금의 사태에서 지상파 3사는 윤 대통령의 탄핵 정국, 계엄 사태를 연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이 가운데 축제 분위기를 내는 시상식 진행이 과연 옳은 것이냐는 의견이 등장했다. 실제 각 방송사도 내부적으로 이 문제를 두고 치열한 논쟁을 펼쳤다.
/사진제공=KBS
또 다른 방송 관계자 B씨도 "탄핵 정국 상황에서 물론 기존 예정됐던 행사가 파행되는 더한 혼란이 빚어지는 건 막아야 겠지만, 방송사가 언론사의 역할을 함께 가져가고 있는 가운데 연말 시상식이 정상 진행되는 것 역시 아이러니한 구석이 있다고 본다"며 "향후 정국이 더 혼란스러워진다면, 대중 사이에서 시상식을 진행한 방송가에 대한 책임론이 대두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렇게 된다면 출연진 역시 난처한 상황일 것이다. 이런 고민을 거쳐 진행한다 해도, 축제의 본래 의미가 유지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반대로 시상식을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시상식이 단순히 웃고 떠드는 자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제작진은 탄핵 정국으로 예능, 드라마 결방 사태가 지속되는 걸 보면서 불안감을 크게 느끼고 있다. 그러다 보니 시상식마저 진행하지 않는다면, 그들에게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방송 관계자 C씨는 "계엄 이후 시민들이 정상적인 일상을 사는 것에 조심하는 분위기가 조성됐고, 사회 전반에 계엄 여파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은 이해하지만, 일상생활을 완전히 멈출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시상식은 계엄 이전부터 준비해오던 일이고, 완전히 엎기에는 여러 사람의 노력과 생계도 달린 일이다. 지금 시상식을 전면 중단하는 것은 무리수"라고 강조했다.
방송 관계자 D씨는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 준비하던 시상식을 하지 않는 건 분명 손해 보는 일이다. 새해를 앞둔 입장에서 노고 치하는 물론, 이 모든 게 사라져 버리면 국민의 우울감은 심해질 것"이라며 "시상식을 진행하되 뉴스 특보를 우선시하면 어떨까"란 의견을 내기도 했다.
/사진제공=SBS
지상파 3사 중 한 곳에 소속된 모 제작진은 "정말 어려울 수밖에 없는 문제다. 진행 여부만 따지기엔 결정 내려야 할 문제가 많다. 시상식과 연결된 외주 제작사 등이 너무 많으며 티켓을 판매했다면 환불도 고려해봐야 할 부분"이라며 "당장 한다, 만다는 여부를 따질 수가 없다. 어떤 판단이 서기 위해선 조금 더 지켜봐야 할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현재 각 방송국은 이런 (부정적인) 의견을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상계엄령 사태의 후폭풍이 지속되는 가운데 각 방송사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