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운전사' 대표 "도망쳤던 나를 떠올리며 제작"(인터뷰)②

[빅4특집]

이경호 기자  |  2017.07.12 09:56
더 램프 대표 박은경/사진=임성균 기자


한국 근현대사의 가슴 아픈 역사로 남은 광주 민주화 운동. 이 소용돌이 속으로 들어간 한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택시운전사'(감독 장훈)는 올 여름 최고 기대작 중 하나로 관객들이 개봉일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오는 8월 2일 개봉 예정인 '택시운전사'는 1980년 5월, 서울 택시운전사 김만섭(송강호 분)이 통금시간 전까지 독일 기자 피터를 광주에 다녀오면 큰 돈을 준다는 제안에 광주로 향하는 이야기. '군함도', '청년경찰', '장산범' 등과 올 여름 극장가 기대작 빅4다.

영화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해 일찌감치 관객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여기에 '괴물'과 '변호인'으로 두 번이나 천만 관객을 동원한 송강호의 주연, '고지전'(2011) 이후 모처럼 극장가로 돌아온 장훈 감독까지. 여러 방면으로 개봉 전부터 관객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누군가에게 불편하고, 민감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소재를 영화로 제작한 이는 제작사 더 램프(THE LAMP)의 박은경(45) 대표다. "기사를 접하고 이 영화를 시작하게 됐다"는 그녀에게 '택시운전사'의 제작, 탄생 과정을 들어봤다.

-이번 영화는 신문 기사를 통해 시작됐다고 했는데. 장훈 감독은 나중에 합류했고.

▶2014년 즈음인 것 같다. 2003년 기사인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던 독일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와 관련한 이야기를 접했다. 같이 일하는 PD가 소개를 해줬는데 '이걸 영화화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 힌츠페터 기자의 이야기보다 그와 광주에 동행한 택시운전사(김사복)의 이야기가 재미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하게 됐다. 시나리오는 제작사에서 1년 정도 진행했고, 엄유나 작가가 합류해 6개월 정도 써서 완성했다.

더 램프 대표 박은경/사진=임성균 기자


-'재미있겠다'는 생각만으로 영화로 제작하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 같다. 김사복이란 사람에게 공감하는 부분이 있었을 것 같은데.

▶재미라기 보다는 그 기사를 접하고 내가 경험했던 일이 생각났다. 2009년 쇼박스에서 근무할 때 동티모르에서 영화 '맨발의 꿈' 촬영이 있었다. 현장에 갔었는데, 누가 흉기를 들고 촬영장에 난입했다. 나름 용기 있고 의식 있다고 생각했는데 허겁지겁 민가로 도망갔다. 거기서 나처럼 도망쳐온 또 다른 스태프와 눈이 마주쳤다. 부끄러웠다. 창피했다. 그 일이 그 기사를 보고 생각이 나더라. 도망쳤다가 돌아온 이야기. 그래서 '택시운전사'를 준비했다.

-영화 제작을 결정한 후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를 직접 만났는데.

▶당시 광주민주화 운동을 세계로 알린 주인공이지만 이 영화 속 주인공이 자기가 아닌 데도 무척 좋아해주셨다. 우리가 온다고 하니 집 앞에 태극기까지 걸어두셨다. 그리고 과거 자신이 만났던 김사복 씨를 만나보고 싶고, 꼭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실제로 힌츠페터 기자는 그 뒤로도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취재하려 왔다가 전경들에게 심하게 구타를 당했다. 그 후유증으로 기자일을 은퇴했다. 그런데 안타깝게 지난해 1월에 별세하셨다. 이 영화를 꼭 그 분에게 보여주고 싶었는데 정말 안타까웠다.

-힌츠페터의 이야기가 사실이지만, 영화적으로 각색된 부분도 상당할텐데.

▶영화는 기자의 동선을 기초로 했다. 때문에 동선에 따른 몇 개의 큰 에피소드는 사실이다. 아무래도 영화이니까, 각색된 부분도 있고 설정인 것도 있다. 특히 만섭(송강호)이란 인물은 저희가 만나 본 적이 없어서, 이야기적으로 구성된 게 꽤 있다.

-재미있고, 좋은 이야기라고 해도 실화라는 부분은 연출하는 감독 입장에서 쉽지 만은 않다. 장훈 감독을 어떻게 설득했는지 궁금하다.

▶장훈 감독은 당시 다른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래도 내가 이 이야기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처음부터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제안을 했더니 바로 하게 됐다.

더 램프 대표 박은경/사진=임성균 기자


-송강호가 이 영화 출연을 처음에는 거절했던 것으로 아는데, 어떻게 그와 작품을 하게 됐는가.

▶한 번 거절을 했었다. 이유를 묻고 싶지 않았다. 그래도 읽어봐 줘서 감사했다. 그 후로 송강호가 다시 연락을 줬다. 다른 배우를 알아보고 있지 않은 시기였는데, 하겠다고 했다. 그렇게 해서 2016년 6월 크랭크인을 하게 됐다.

-송강호가 극중 맡은 만섭 캐릭터, 실제로 김사복씨는 연락이 됐나.

▶찾으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여러 방면으로 노력했지만 찾을 수가 없었다. 때문에 극 중 만섭이란 인물은 힌츠페터 기자의 기억 속에서 가져왔다. 자기보다 나이가 많아 보였다는 둥 정말 착한 사람이었다는 둥. 그런 기억들.

-독일 기자 역의 토마스 크레취만 캐스팅도 쉽지 않았는데.

▶이왕이면 독일 배우를 해보고 싶었다. 그리고 배우를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몇 명의 배우를 한정해서 고심해 봤는데, 이 분이 제일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이후 에이전트를 찾아 연락을 취했는데,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그러다 저희가 메일로 연락을 하고, 영화에 대해 설명을 했는데 취지가 좋다고 답이 왔다. 그 말을 듣고 저희가 바로 할리우드로 만나러 갔다. 미팅에 이어 브리핑까지 하고, 긍정적인 이야기를 듣고 한국으로 다시 올 수 있었다.

-극중 유해진, 류준열이 맡은 인물은 어떻게 넣었나.

▶유해진은 광주의 택시운전사 황태술, 류준열은 광주 대학생 구재식이다. 두 사람은 만섭, 힌츠페터가 광주에서 만나는 사람들이다. 둘이 만나는 사람들은 평범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었다. 사상적인 게 아니라, 우리가 아는 사람들 혹은 지나가다 만나는 사람이었으면 했다. 그래서 두 사람의 캐릭터를 설정해 이야기를 만들었다.

-광주 민주화 운동을 다루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는가.

▶민주화 운동을 다루지만 그 게 주된 내용은 아니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느냐'가 메인 이야기다. 주인공이 어떤 선택을 했는지 보는 것이며, 어느 시기에도 일어날 수 있는 보통 사람의 이야기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기 전에 기획했다. 소재에 대해 여러 말들이 있고 조심스럽기도 했을텐데.

▶'도망가지 말아야겠다'에서 출발한 영화다. 꼭 그런 이념, 정치 이야기로 봐주지 않았으면 한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택시 운전사'는 평범한 사람의 선택을 그린 이야기다. 그래서 영화 타이틀도 내용도 택시운전사다.

더 램프 대표 박은경/사진=임성균 기자


-배경이 1980년이다보니 재현하는 부분에 있어 세트나 택시 외 소품 찾기에 쉽지 않았을 것 같은데.

▶예산이 118억 원 정도 들었다. 돈이 많이 들든 아니든 세트에 대한 제작자의 마음은 늘 아쉬운 것 같다. 이번엔 택시가 없었다. 일부 파손되는 장면이 있어 너무 힘들었다. 결국 차를 반납하는 조건으로 당시 차들을 해외에서 수입했다.

-'택시운전사'의 흥행, 혹시 천만을 노리는가.

▶그저 잘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일단 저희보다 앞서 '군함도'가 개봉한다. '군함도' 대 '택시운전사' 구도가 될 것 같다. 결과는 그 때 가 봐야 알 것 같다.


베스트클릭

  1. 1방탄소년단 지민 2집 발매에 美음반유통사 임원 부적절 행동..전 세계 아미 '분노'
  2. 2방탄소년단 진, 슈퍼스타 활동 재개 신호탄..한국 문화 홍보 코리아 넷 장식
  3. 3방탄소년단 진, 유픽 '6월 이달의 픽 K팝 남자 아티스트' 1위
  4. 4'위암 투병 끝 별세' 10년 지기 팬한테 감동의 승리 바쳤다... "평생 잊지 않겠습니다"
  5. 5방탄소년단 지민, K팝 아이돌 인기 투표 165주 우승..누적 득표수 150억 돌파
  6. 6방탄소년단 지민, 뉴욕 타임스퀘어 접수..군백기에도 '핫 인기'
  7. 7"팬들이 호구냐"..넬, '45만원' 팬클럽 가입비 논란 "전액 환불" 사과 [공식][전문]
  8. 8'류현진에 K-K'→KIA 타선은 참지 않아! 김도영·최형우 백투백-그리고 나성범... 최강 원투펀치가 무너졌다
  9. 9방탄소년단 정국, 美빌보드 '핫 100' 차트 누적 68주 진입..K팝 솔로 최초·유일 '新기록'
  10. 10'절망 1승 5패→또 1승 5패' 우승후보 위닝 또 위닝 반등! 사령탑 "선수들 더블헤더 힘들었을 텐데..." [잠실 현장]

핫이슈

더보기

기획/연재

더보기

스타뉴스 단독

더보기

포토 슬라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