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에서 한 중학생이 건져진다. 명문 한음 국제중학교 학생 김건우가 의식불명 상태로 발견된 것. 건우는 임시 담임을 맡은 기간제 교사 송정욱 앞으로 자신을 괴롭혔던 같은 반 학생 4명의 이름이 적힌 편지를 보냈다. 병원 이사장의 아들 도윤재, 전직 경찰청장의 손자 박규범, 한음 국제중학교 주임선생님의 아들 정이든, 그리고 변호사 강호창의 아들 강한결.
학교로 호출된 아이들의 부모들은, 곧 자신들의 자식들이 건우를 끔찍하게 괴롭혔다는 증거들을 발견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재력과 권력을 이용해 교장선생님까지 포섭해 증거를 없애고 사건을 은폐하려 한다. 이들의 은폐 공작으로 건우 엄마는 그저 아들이 공부가 힘들어 투신했다고 자책한다.
하지만 학생을 지키지 못했다는 자책감으로 괴로워하던 담임 선생님 송정욱의 양심 선언으로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진실 공방이 벌어진다.
동명의 연극을 영화화한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는 강렬한 제목 만큼, 이야기 전개도 강렬하다. '화려한 휴가' '7광구' '타워' 등을 연출했던 김지훈 감독은, 자신의 감독 인생 2막으로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를 선택한 이유를 명징하게 보여준다.
학교 폭력과 그것을 덮으려는 부모들. 부모 닮은 자식과 자식 닮은 부모들의 추악한 민낯이 마치 재난영화처럼 감정의 쓰나미를 일으킨다. 거대한 재난 앞에 던져진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려왔던 김지훈 감독은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로 사람이 사람에게 제일 무서운 공포이자 재난일 수 있다는 걸 촘촘히 보여준다.
사건의 실체가 드러날 수록, 사건을 덮으려는 노력들이 더해질 수록, 왕따의 본질에 더 다가갈수록, 관객은 이를 더 악물게 된다. 이를 악물면서 직시하게 된다. 돌을 던지는 사람과 방관한 사람, 알고도 덮으려 한 사람, 진실을 찾으려 애쓰는 사람, 진실을 조작하는 사람. 이 모두에게 한 조각씩 감정 이입을 하게 만든다. 그리하여 마지막의 마지막 순간,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에는 유리창이 가득하다. 유리문이 가득하다. 세상을 엿볼 수 있는 창. 그러면서 자신도 보여지는 창. 김지훈 감독은 이 투명한 유리창들로 묻는다. 보고 보여지는 유리창 앞에서 당신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영화적으로 묻는다.
법정 장면에서 감정의 파고가 더 높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없진 않지만 김지훈 감독은 선택을 한 것 같다. 그곳에서 감정이 높아지면 그 다음의 나락이 관객에게 배신으로 느껴졌을 법 하다. 이 선택이 좋다. 신파를 절제하고 괴로운 질문을 던지는 이 선택이 김지훈 감독의 2막을 보여준다.
주연배우들은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를 입체적으로 만든 일등공신들이다. 병원 이사장 역을 맡은 오달수는 '구타유발자들' 이후 좀처럼 볼 수 없었던 그의 서늘한 공포로 영화에 시종 긴장감을 더한다. 건우 엄마 역을 맡은 문소리는 꾹꾹 눌러놓는 감정의 절절함과 폭발을, 달려드는 손끝 하나까지 표현한다. '한공주'의 천우희가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의 송정욱을 맡은 건, 이 배우의 성장사로 기억해도 될 드라마다.
접견 변호사 강호창 역을 맡은 설경구는, 연기로 서사를 이끈다. 담담하게 수치를 숨기고, 익숙하게 진실을 덮고, 괴로워하며 진실을 찾다가, 절망하며 선택을 한다. 마지막까지 그의 얼굴이 질문이다.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는 시간이 지나도 바래지 않을 영화이자 질문이다. 이 영화가 던지는 질문이 더이상 유효하지 않는 날, 이 영화도 잊혀질 터다.
4월 27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전형화 기자 aoi@mtstarnews.com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