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년' vs '화려한 휴가', 그 같고도 다른 '광주'의 유산

김관명 기자  |  2012.11.26 08:49


조근현 감독의 '26년'이 마침내 오는 29일 개봉한다. 한 편의 상업영화에 대해 '마침내'라는, 대놓고 주관적이고 편향적인 단어를 갖다 붙일 수 있는 건 여러 합당한 이유와 타당한 근거가 있다.


첫째~아홉번째, 강풀 웹툰 원작의 이 영화 제작의 지난한 과정 때문이다. 촬영이야 3개월만에 끝냈다지만 처음 영화 기획부터 꼬박 5년이 걸렸다. 전직 대통령을 암살한다는 핫한 내용 때문에 돈을 대기로 약속한 투자자가 하루아침에 등을 돌리기 다반사였다. 촬영을 약속한 곳이 "관할 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아오라"는 등 별의별 핑계를 대며 제작진을 쫓아낸 일도 부지기수. 영화제목도 당초 '29년'에서 '26년'으로, 메인투자 대기업과 감독과 주연배우도 몽땅 바뀌었다. 결국 제작사 청어람은 올해 예비 관객으로부터 온라인으로 투자를 받는 제작두레를 실시, 7억원여를 모아 겨우 제작에 들어갔다. 개인투자자 포함해서 순제작비가 50억원이니 시중에 도는 헛소문마냥 저예산 영화가 결코 아니다.

그리고 마지막. 1980년 5월 '광주'에 대한 괴로운 부채의식 때문이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이라는 끔찍한 '역사'에 대한 후대의 부채의식, 그리고 까맣게 잊고 살았던 이 역사를 끝내 기억해내서 스크린에 옮긴 '영화'와 '영화인들'에 대한 부채의식이다. 이는 '26년'을 볼 관객이 어떤 세대이건 크게 상관없을 것 같다. 본인이, 아들과 딸이, 형과 누나가 광주에서 그 일을 당했던 세대이든, 혹은 아들이, 본인이, 형이 계엄군이었던 세대이든. 또는 '광주'가 대학운동권의 주요 화두였던 세대이든, 6.29 선언후 '책임소재와 응징'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였던 세대이든, 아니면 2007년 영화 '화려한 휴가'를 통해서야 그나마 '광주'를 이해했던 세대이든. 어쨌든 '광주'는 '빨갱이' 운운하며 대한민국 군인이 근접사격으로 대한민국 시민들을 죽인, 되풀이되어서는 안될 처참한 역사였으니까.


이렇게 '마침내' 오는 29일 개봉을 앞둔 '26년'은 그래서 김지훈 감독의 '화려한 휴가'를 떠올리게 한다. 벌써 5년전에 개봉했던 김상경 안성기 이요원 이준기 주연의 이 영화. 작전명 '화려한 휴가'로 광주에 투입된 계엄군의 흔들리는 트럭 장면으로 시작된 이 영화는 결국 5.18 그날 전남도청에 휩쓸리듯 '있게 된' 광주시민들의 처절한 삶과 죽음의 이야기로 막을 내렸다. 그리고 택시기사 김상경, 퇴역장교 출신 안성기를 비롯해 이준기 박철민 박원상 이요원 그 형제 같은 소시민들의 황망한 죽음과 죽음 직전에 나눴던 따뜻한 담소에 눈물 흘린 관객이 무려 730만명이었다.

두 영화의 차이는 물론 크다. '화려한 휴가'는 1980년 5월의 열흘을 스크린에 옮겼고, '26년'은 그로부터 26년이 지난 2006년의 뜨거웠던 한 여름 며칠을 극화했다. 극화도 보통 극화가 아니다. '그 사람'으로 표현된 전직 대통령(장광)을 죽이려는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인' 극화. '화려한 휴가'는 계엄군과 시민군의 당시 대치상황을 리얼하게 그렸고, '26년'은 계엄군으로부터 무지막지하게 일방적으로 당한 소시민들의 참화를 거친 판화 스타일의 애니메이션으로 대체했다. 결국 '화려한 휴가'는 부둥켜안고 죽음을 맞이한 아버지 어머니 형 누나의 이야기였고, '26년'은 그들의 살아남은 아들과 딸, 동생들의 이야기였다. '26년'은 특히 깡패(진구), 올림픽사격선수(한혜진), 교통경찰(임슬옹)이 암살특공조가 된다는, 어쩌면 마음에만 품었을 강렬한 복수 혹은 응징의 판타지다.


'26년'은 과연, 32년 전 그날이 응어리 맺힌 이들의 초법적인 살인극은 과연, 지금 2012년에 어떤 결실을 맺을까. 역사책이나 신문에서만 '광주'를 접한 10~20대들은 과연 팝콘과 콜라를 들고 진구 한혜진 임슬옹이라는 스타들의 주연작을 데이트 무비로 봐 줄 수 있을까. 여느 블록버스터 액션 영화처럼 한혜진의 경쾌한 연사 타격음에 환호하고, 진구의 징한 전라도 사투리와 깡패 액션에 박수를 칠 수 있을까. "오월 그 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를 대학시절 내내 불러야 했던 지금의 40대, 50대들은 아들과 딸과 아내(남편)와 손잡고 이 영화를 볼 수 있을까. 결국은 '5월 운동권 노래'의 하이라이트가 스크린에 옮겨지는 이 영화의 극한 상상력에 어떤 점수를 내릴까. 그리고 '그 사람' 측근과 추종자들은, '계엄군' 혹은 '시민군'의 부모와 유족은, 이번 '대선'을 앞둔 정치권과 유권자들은 과연 '26년'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그래'일까, '일단'일까, '지레'일까, '무관심'일까. 그 첫 단서가 풀릴 29일이 꼭 3일 남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스타뉴스 단독

HOT ISSUE

스타 인터뷰

TOP